티스토리

안나푸르나
검색하기

블로그 홈

안나푸르나

oracle.tistory.com/m

CDL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2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SecureCRT 7.3.5 폰트 변경 SecureCRT > Options > Golbal Options > General > Default Session > Edit Default Settings > Appearance > Fonts 공감수 1 댓글수 0 2018. 1. 31.
  • 리얼텍 무선랜 드라이버 v1030.2.0731.2015 WHQL 출처 : http://www.kbench.com/software/?q=node/61851 [지원하는 운영체제] 윈도우 7~10 [지원하는 칩셋] Realtek RTL8723B Wireless LAN 802.11n USB 2.0 Network Adapter' Realtek RTL8703B Wireless LAN 802.11ac USB 2.0 Network Adapter' Realtek RTL8188FTV Wireless LAN 802.11n USB 2.0 Network Adapter' Realtek RTL8188EU Wireless LAN 802.11n USB 2.0 Network Adapter' Realtek RTL8188EE-VAU Wireless LAN 802.11n USB minicard' Real..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4. 2.
  • 파워포인트 2016 - 빠른 실행도구 설정 팁 # 파워포인트 2016 버전 기준의 빠른 실행도구 설정 팁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3. 23.
  • 유용한 무료 유틸 # CPU-Z http://www.cpuid.com/softwares/cpu-z.html # HWMonitorhttp://www.cpuid.com/softwares/hwmonitor.html # CrystalDiskMark http://crystalmark.info/download/index-e.html # MediaInfo http://mediainfo.sourceforge.net/ko # 7-Zip http://www.7-zip.org/ # Microsoft Security Essentials http://windows.microsoft.com/ko-KR/windows/security-essentials-download # mTAILhttp://ophilipp.free.fr/op_tail.htm 공감수 0 댓글수 0 2012. 11. 15.
  • 엑셀에서 중복 이름 조회하는 방법 캡쳐화면과 같이 B2 셀에 아래의 수식을 입력하고 그 다음 열도 수식을 Copy 해서 동일하게 적용하면 됩니다. =IF(COUNTIF(A:A,A2)=1," 중복 아님",A2&" "& COUNTIF(A:A,A2)&"회 중복") 공감수 0 댓글수 0 2012. 9. 7.
  • 엑셀 2010 환경에서 매크로 메뉴 나타나게 하는 방법 1. [파일] => [옵셥] 메뉴 클릭 2. [옵셥] 창에서 '리본 사용자 지정' 항목 선택 후 우측 화면에서 '개발도구' 항목 체크, 확인 버튼 클릭 3. 상단의 기존 메뉴화면에 '개발도구' 메뉴가 나타나며, 하단 좌측에 매크로 메뉴 확인 가능 공감수 2 댓글수 0 2012. 8. 9.
  • FileZilla FTP 계정 백업 [Windows XP] C:\Documents and Settings\계정명\Application Data\FileZilla [Windows Vista / Windows 7] C:\Users\계정명\AppData\Roaming\FileZilla 또는 C:\Users\계정명\Application Data\FileZilla 공감수 0 댓글수 0 2011. 12. 12.
  • SecureCRT 세션정보 백업 C:₩Documents and Settings₩계정명₩Application Data₩VanDyke₩ConfigVanDyke₩Sessions 또는 Secure CRT 의 아래 메뉴에서도 확인 가능 Options -> Global Options -> General -> Configuration folder 공감수 0 댓글수 0 2011. 12. 12.
  • 아웃룩2010 PST 파일 저장 위치 찾는 방법 출처 : http://hosup.wordpress.com/2010/07/07/%ec%95%84%ec%9b%83%eb%a3%a9%ec%9d%98-pst-%ed%8c%8c%ec%9d%bc-%ec%a0%80%ec%9e%a5-%ec%9c%84%ec%b9%98-%ec%b0%be%eb%8a%94-%eb%b0%a9%eb%b2%95/ 1. [파일] 백스테이지 메뉴를 클릭 후, [정보] 메뉴를 선택합니다. 2. [계정 설정] 버튼을 클릭하여, [계정 설정] 메뉴를 선택합니다. 3. [데이터 파일] 탭을 클릭하면, 메일 주소 옆에 PST 파일 저장 경로가 나타납니다. 4. [파일 위치 열기] 아이콘을 클릭하면, PST 파일이 저장된 폴더가 열립니다. 5. 아웃룩(Outlook) 2007 버전의 경우, [받은 편지함]을 선.. 공감수 0 댓글수 0 2011. 10. 13.
  • M/M (Man Month) 의미? 출처 : http://blog.dreamwiz.com/cheju43/1514954 프로젝트 제안서를 작성할 때 투입 인원의 개념으로 맨맨쓰라는 표현을 많이 씁니다. 맨먼쓰를 이해하기 전에 [작업 시간]과 [단위]에 대해 알 필요가 있습니다. [작업 시간]은 자원이 작업에 투입되는 예정 시간을 뜻합니다. 1일 4시간 일할 예정이면 작업 시간이 4시간이라는 뜻입니다. 달력에서 하루의 [사용 가능한 작업 시간] 대비 [작업 시간]을 [단위]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하루의 단위가 50%라면 달력 상에서 하루에 8시간 근무하기로 되어 있는데 4시간 업무가 배정되었다는 뜻입니다. 맨먼쓰(M/M, Man Month)는 엄밀히 men per month의 뜻입니다.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월 인원을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프.. 공감수 6 댓글수 0 2011. 10. 12.
  • 오피스 2010의 아웃룩 사용시 UTF-8 메일 EUC-KR 변환 출처 : http://joke00.tistory.com/126 메일이 왔는데 UTF-8로 와서 깨져서 볼 수 없게 되었다면? 웹메일로 읽으면 제대로 읽혀진다지만,,, 아웃룩에서 변환이 가능합니다. 아웃룩에서 변환! 1. 해당 깨진 메일을 더블클릭해서 엽니다. 2. [파일] - [동작] - [기타동작] - [인코딩] - [한국어EUC]를 선택합니다. 한국어가 보이지 않을 경우? [파일] - [동작] - [기타동작] - [인코딩]- 자세히를 눌러 한국어를 찾아 선택하여 클릭한 후 저장하여 닫게되면 한국어로 정상적인 내용이 보여 진답니다 ^^ 공감수 0 댓글수 0 2011. 10. 5.
  • SecureCRT 세션 정보 백업 윈도우 버전에 따라 SecureCRT 세션 파일의 위치가 다르므로,, SecureCRT 프로그램에서 직접 확인하는게 상책!! 프로그램 상단 메뉴의 [Options] - [Global Options] - [General] - [Configuration folder] 항목에서 세션 파일 위치 확인 후 백업 대상 카피~ 공감수 1 댓글수 1 2011. 4. 22.
  • TSM(Tivoli Storage Manager) 6.1, 6.2 - Supported Operating Systems 출처 : http://www-01.ibm.com/support/docview.wss?uid=swg21243309 # TSM Storage Manager 6.1, 6.2 Platform TSM Server and Storage Agent Version 6.1 Operating System TSM Server and Storage Agent Version 6.2 Operating System AIX AIX V5.3 (64 bit only) AIX V6.1 (64 bit only) AIX V5.3 (64 bit only) AIX V6.1 (64 bit only) AIX V7.1 (64 bit only) (starting with TSM Server V6.2.2) HP-UX ITANIUM: HP-UX 11i v.. 공감수 0 댓글수 1 2011. 1. 20.
  • TSM(Tivoli Storage Manager) 5.3, 5.4, 5.5 - Supported Operating Systems 출처 : http://www-01.ibm.com/support/docview.wss?uid=swg21304000 http://www-01.ibm.com/support/docview.wss?rs=0&uid=swg21370295 http://www-01.ibm.com/support/docview.wss?&uid=swg21420982 # TSM Storage Manager 5.3 Platform TSM Server and Storage Agent Version 5.3 Operating Systems AIX IBM AIX 5L V5.1 (32 bit or 64 bit) or later AIX 5.2 (32 bit or 64 bit) AIX 5.3 (32 bit or 64 bit) HP-UX ITANIUM: HP.. 공감수 0 댓글수 1 2011. 1. 20.
  • 텍스트 분할 프로그램 로그 파일이 수백 MB 또는 GB 단위로 커져 버리면,, 메모장이나 일반 에디터로 보기 힘든 경우가 발생한다. 이럴때 아래 프로그램을 통해 크기 또는 파일수 기준으로 분할해서 보면 확인가능 ^^ 공감수 0 댓글수 0 2010. 9. 27.
  • 멀티 원격데스크톱 매니저 - Remote Desktop Manager 관리대상 NT 장비가 많을 수록 주로 터미널로 접속해서 작업을 하게 되는데, MS 에서 기본 제공하는 원격데스크톱 프로그램만 가지고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감이 없지 않다. 그래서 찾아본 것이 RDM(Remote Desktop Manager) 익스플로러 7 이상에서 지원하는 멀티탭 형식을 이 프로그램에서도 지원하기 때문에 여러개의 창을 늘어놓지 않아도 된다. 즉, NT 장비들을 미리 등록해 놓고 멀티탭별로 여러개 연결해두면 관리하기 넘 편하다. ^^ 마음에 드는 또하나는, Standard Edition 은 Free 버전이라서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다는 것,, 단, Enterprise Edition은 유료 버전 # 다운로드: http://www.remotedesktopmanager.com/ # 개요 Remote.. 공감수 0 댓글수 1 2010. 9. 8.
  • WindowsLiveWriter 실행 오류 출처 : http://dwjang.spaces.live.com/blog/cns!B0DF27B1762C4BFC!224.entry 이놈 때문에 한~참을 애먹었습니다. 해결방법 입니다. 혹시 Windows Live Writer 2009를 설치하고 실행하는 순간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C:\Program Files\Windows Live\Writer\Dictionaries\ 폴더에 있는 MSSP3KO.LEX 파일을 MSSP3KO.LEX.bak로 이름을 잠시 변경한 후 Live Wirter를 다시 실행한다. 정상적으로 실행이 된 후에는 MSSP3KO.LEX 파일 이름을 원래대로 되돌려 놓는다. 만약, 이렇게 했는데도 동일한 현상이 계속 일어날 경우에는 윈도 업데이트 사이트를 방문해 .NET Framework.. 공감수 0 댓글수 0 2010. 8. 10.
  • Pinnacle Studio Moviebox HD Ultimate Collection Ver.14 출처 : http://blog.naver.com/n6825?Redirect=Log&logNo=90085525538 공감수 0 댓글수 0 2010. 4. 30.
  • 알집 커맨트 명령어 출처 : http://www.altools.co.kr/help/alzip/70/frame.htm 1. 명령문 기본사항 * 명령문 문법 alzip [참고] 명령, 기타옵션, 대상파일, 결과파일에 들어가는 내용은 띄어쓰기(space bar)가 없어야 합니다. 필요한 경우 "큰 따옴표"로 묶어서 입력해야 합니다. 잘못된 사용 alzip -a *.* c:\Document and setting\myfie.alz 올바른 사용 alzip -a *.* "c:\Document and setting"\myfie.alz * 대상파일 - 모든 동작은 현재 폴더를 기준으로 동작합니다. - *.*는 현재폴더입니다. - "\"가 처음나올 경우 현재 드라이브의 최상위폴더(루트폴더, C\, D\ 등을 의미합니다. - "..", ".".. 공감수 0 댓글수 0 2010. 4. 21.
  • 비스타 - 엔드노트 설치 관련 1935 에러 조치 방법 윈도우 비스타 환경에서 엔드노트 X3 버전 설치시 1935 에러가 발생하네요. 관련하여 구글에서 자료를 찾다가 엔드노트 사이트에서 해답을 찾았습니다. 비스타 사용자 계정 항목에서 [사용자 계정 컨트롤 설정 변경] 이라는 기능을 끄고 설치하니깐 되네요. ^^ 1. 설치 오류 메시지 Error 1935. An error occurred during installation of assembly 'Microsoft.VC90.CRT, Type=win32, processorArchitecture=x86, publictokenkey="1fc8b3b9a1e18e3b", version="9.0.30729.1". Please refer to help and support for more information 2. 해결 방.. 공감수 0 댓글수 1 2010. 4. 1.
  • BAT 파일을 EXE 파일로 변환하기 (BAT to EXE Converter v1.5) 윈도우 배치파일(*.bat)을 실행파일(*.exe)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 다운로드 http://www.f2ko.de/English/b2e/download.php 공감수 0 댓글수 0 2009. 8. 24.
  • 엑셀에서 하이퍼링크 자동으로 생성/제거하는 방법 - 매크로 기능을 이용하여 # 하이퍼링크 생성 방법 : 아래 소스와 같이 'create_HLink' 매크로 생성 후, URL 정보가 있는 셀을 범위지정하고 'create_HLink' 매크로 실행 Sub create_HLink() Dim C As Range For Each C In Selection If Not IsEmpty(C) Then C.Hyperlinks.Delete ActiveSheet.Hyperlinks.Add Anchor:=C, Address:=C.Value, TextToDisplay:=C.Value End If Next C End Sub # 하이퍼링크 제거 방법 : 아래 소스와 같이 'delete_HLink' 매크로 생성 후, URL 정보가 있는 셀을 범위 지정하고 'delete_HLink' 매크로 실행 Sub del.. 공감수 0 댓글수 0 2009. 8. 24.
  • Windows7 부팅 USB만드는 방법 출처: http://winkey.tistory.com/253 Windows7의 자잘한 버전 업을 계속하면서 매번 CD를 굽는 것이 참 낭비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언제인가 부터 USB 메모리를 이용해서 부팅해서 바로 설치하는 단계를 거쳤습니다. CD보다 USB 메모리가 입출력 속도가 겁나 빠르기 때문에 설치 속도도 20분 내외로 짧아졌습니다. 여기서는 부팅 USB 메모리를 어떻게 만드는 지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Windows 7이나 Windows Vista에서 명령어 창에서 cmd를 입력해서 도스 창을 엽니다. 2. diskpart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3. diskpart에 들어가서 list disk (여기서 USB 메모리의 파티션 번호를 확인한다.) select disk 1 .. 공감수 0 댓글수 0 2009. 8. 19.
  • IE 7.0 시작페이지 접속 장애 Internet Explorer 7 버전 설치 후 원래 시작페이지로 연결되지 못하고 http://runonce.msn.com/runonce2.aspx 사이트로 연결을 시도하다 접속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IE 7 버전의 버그로 보이는데,, 암튼.. 인터넷 옵션을 이리저리 만져봐도 도통 해결될 것 같지 않아 포털을 뒤져보니 역시나.. 이미 많은 사람들이 동일한 문제로 애를 먹었나보다.. ^^ 일단 아래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실행 후 [Remove] 버튼을 클릭하고 IE를 재실행하면 문제는 해결된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09. 8. 13.
  • 엑셀2003과 엑셀2007의 최대 행수 및 열수 차이 Version 세로(행수) 가로(열수) 전체 셀수 엑셀2003 65,536 256 16,777,216 엑셀2007 1,048,576 16,384 17,179,869,184 증가량 983,040 16,128 17,163,091,968 공감수 0 댓글수 0 2009. 6. 4.
  • 원격 데스크톱 연결 실패 출처: http://blog.naver.com/brightest?Redirect=Log&logNo=150042828222 예전에 잘 접속되된 원격 데스크톱 연결이 언제인가 부터 안 되기 시작하셨다면.... 이 글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 이것을 아는 과정에서 많은 삽질을 했으므로, 다른 분 들의 삽질을 줄이기 위한 바램에서 이 글을 남깁니다 ^^ 관리도구 > 이벤트뷰어 > 시스템의 Application Popup 부분에서 다음의 에러를 발견했다면, 응용 프로그램 팝업: : \SystemRoot\System32\RDPDD.dll failed to load 일단 NVIDIA의 드라이버 버전의 문제로 보고, (아마도 윈도가 자동 업그레이드 되는 과정에서 NVIDIA 드라이버와 어떤 충돌이 발생한 게 아.. 공감수 0 댓글수 0 2009. 5. 27.
  • [스크랩] TailXP - 유닉스 tail 명령을 Windows 환경에서 출처: http://loser.miniwini.com/wp/archives/183 유닉스 tail 명령은 파일 끝의 내용을 보여주는 작고 간단한 유틸입니다. 이것이 유용한 경우는 매우 큰 파일의 끝 부분만 참조할 때나, 로그 파일 처럼 계속 파일 끝에 내용이 추가되는 파일의 변화를 추적할 경우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Windows 환경에서는 로그 파일을 남기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사용할 때 tail 을 대신할 프로그램이 없어 간끔 난감한 경우가 있습니다. 주변에 보면 계속 메모장으로 로그 파일을 여는 삽질 신공을 펼치는 분들도 있습니다. -_-; 자~ 이럴 경우, TailXP 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할 로그 파일을 지정해주면 쉽게 변화 내용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규칙을 지원하므로 잘 활용하면 업무에 따라.. 공감수 0 댓글수 0 2009. 2. 2.
  • 윈도우 1.0에서 7까지…윈도 20년 진화의 역사 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92&aid=0001944991 [지디넷코리아] 마이크로소프트(MS) 윈도가 나온 지 20년이 넘었다. 윈도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널리 보급된 데스크톱용 운영체제(OS)다. 1985년에 나온 윈도 최초 버전부터 올해 공개된 ‘윈도7’까지 사진과 함께 살펴본다. ◇사진설명: ‘윈도 1.0’이라고 말할 수 있을 윈도 최초 버전이 담겨진 상자. 1985년에 나왔다. 윈도의 출현과 함께 사람들은 비트맵 그래픽과 마우스를 본격적으로 사용하게 됐다. ◇사진설명: 16비트였던 윈도 1.0은 창(윈도)과 그래피컬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었다. 이것은 PC용 OS에 있어 커다란 변화다. 이전 MS.. 공감수 0 댓글수 0 2009. 1. 2.
  • 10.4.8 VMware Installation Guide 출처: http://pcwizcomputer.com/index.php?option=com_content&task=view&id=36&Itemid=32 [Mac OSx86] 10.4.8 VMware Installation Guide Description: Try out Mac OS X 10.4.8 for yourself without buying a real mac. Let this guide help you along the way with simple, easy to understand step-by-step instructions and screenshots. Note: This is different from PearPC. PearPC emulates a PowerPC processor, while.. 공감수 0 댓글수 0 2008. 12. 15.
  • 하드웨어 확인 공감수 0 댓글수 0 2008. 10. 31.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