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 AIX OS Kernel Parameter에 대한 각 영역에 대한 역활에 대한 정의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1. lru_file_repage=0 [page steal을 file cache에서 수행함] (*minperm보다 작다는 전제하에..)

# 새로운 메모리 페이지가 요구될 때, 1이면 file cache와 연산용 메모리의 repage counter를 비교하여 더 많은 페이지를 요
구하는 쪽에 우선권을 주었으나, 0이면 연산용 메모리에 우선권을 부여함.


2. strict_maxperm=0 (default) [maxperm%을 초과한 메모리 사용량까지 허용, 1=제약]

# 제약 strict_maxperm=1 을 걸면 maxperm%을 초과한 메모리 사용량이 제약되므로, 메모리 대기열(wait) 또는 paging로
넘겨수행함.


3. strict_maxclient=1 (default) [0=허용, 1=제약]

# AIX에서 사용하는 jfs2 log나 nfs등 파일시스템 캐쉬영역 제약함.

### AIX OS 6.1에서부터 strict_maxperm=0 와 strict_maxclient=1 의 수치를 default로 설정하였으며, strict_maxperm,
strict_maxclient 변경시 시스템 Hang이 발생하므로, AIX 6.1 OS 에서 default로 적용함.


4. maxperm%=90 [File Cache영역이 사용할수 있는 최대 보장영역]

# 최대 file cache영역이 90%까지 쓸수 있게되며, 나머지 10%가 DB에서 사용하게 됨
10%가지고 모자라게되면 페이징스페이스 영역으로 넘어가게 되며, 시스템의 메모리 병목현상이 발생하게 됨


5. minperm%=5 (physical RAM <32 GB) [File Cache영역이 사용할수 있는 최소 보장영역]

minperm%=10 (physical RAM >32 GB but <64 GB)
minperm%=20 (physical RAM >64 GB)

# maxprem%과 maxclient% 값은 같은 값으로 같이 바꾸어 준다.
# DB를 Raw-device 로 쓰는 경우 maxperm%, maxclient%, minperm% 값의 셋팅의 의미는 없음.
# File Cache는 OS가 관리하는 filesystem에서 사용하는 것임.


6. v_pinshm =1 [물리적인 메모리에 Oracle SGA를 올려놓고 쓰겠다는 의미]

+ Recent posts